2024 중위소득
정부에서 다양한 복지정책을 시행할때 기준이되는 기준 중위소득 몇%라는 말을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. 그래서 많이들 궁금해하는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각 퍼센트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.
다양한 정부 지원정책 지원시 참고하기에 유용하실 겁니다. 그럼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.
2024 중위소득
아래 표에 있는 수치가 나의 소득 금액과 차이가 적을수록 중위소득에 가깝습니다.
구분 | 1인 | 2인 | 3인 | 4인 | 5인 | 6인 | 7인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017년 | 1,652,931 | 2,814,449 | 3,640,915 | 4,467,380 | 5,293,845 | 6,120,311 | 6,946,776 |
2018년 | 1,672,105 | 2,847,097 | 3,683,150 | 4,519,202 | 5,355,254 | 6,191,307 | 7,027,359 |
2019년 | 1,707,008 | 2,906,528 | 3,760,032 | 4,613,536 | 5,467,040 | 6,320,544 | 7,174,048 |
2020년 | 1,757,194 | 2,991,980 | 3,870,577 | 4,749,174 | 5,627,771 | 6,506,368 | 7,389,715 |
2021년 | 1,827,831 | 3,088,079 | 3,983,950 | 4,876,290 | 5,757,373 | 6,628,603 | 7,497,198 |
2022년 | 1,944,812 | 3,260,085 | 4,194,701 | 5,121,080 | 6,024,515 | 6,907,004 | 7,780,592 |
2023년 | 2,077,892 | 3,456,155 | 4,434,816 | 5,400,964 | 6,330,688 | 7,227,981 | 8,107,515 |
2024년 | 2,228,445 | 3,682,609 | 4,714,657 | 5,729,913 | 6,695,735 | 7,618,369 | 8,514,994 |
정부가 국민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복지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적합한 대상자를 선별하는 기준이 필요한데, 이 때 주로 활요되는 중요한 지표가 ‘기준 중위소득’입니다.
기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하는데요. 바로 이 기준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해서 다양한 복지정책의 수급자를 선정하는 기준이 됩니다.
중위소득은 최저 0에서 100%까지 있으며, 나의 소득이 전국민 중 중간에 있다면 50%에 위치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중위소득은 사실, 고소득자가 이용하는 지표라기보단 저소득자에게 복지나 지원을 해주기 위해 저소득자를 판별하는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는 기준 중위소득 50%이하이신 기초생활수급자 (차상위계층) 가구별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 대상을 선정하게 되는데 선정 기준은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생계급여 수급자 | 기준 중위소득 30% 이하 |
의료급여 수급자 | 기준 중위소득 40% 이하 |
주거급여 수급자 | 기준 중위소득 47% 이하 |
교육급여 수급자 |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|
교육급여는 교육활동지원비가 저소득층의 교육활동에 보다 많이 사용될 수 있도록 지급방식을 ’23년 3월부터 현금에서 바우처로 개편하여 지원할 예정
※ 기준 중위소득은 세금 공제 전 금액을 기준으로 하며,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납부한 건강보험료에 따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024 중위소득 기준 TABLE
예시로 설명하자면 만약 3인 가족기준 중위소득이 60%라고 하면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금액이 4,434,816원에 0.6(60%)를 곱하면 됩니다.
※ 4,714,657 x 0.6 = 2,828,794원 |
3인 가족 소득이 2,828,794원 이하이면 해당 복지사업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.
우리가족이 어느 구간에 위치하고 있는지 잘 기억해 두셨다가 각종 복지사업 추진 시 해당 요건에 맞는다면 한 번씩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.
아래는 복지로 사이트를 통한 중위소득 조회방법입니다.
중위소득 조회방법
복지로 홈페이지에 있는 모의계산을 이용합니다.
복지로 홈페이지에 ‘국민기초 생활보장’에 맞춰져있는 상태로 들어가지는데, 중위소득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그 상태로 조회하시면 됩니다.
가족이 총 몇 명인지, 거주지 등 기본정보를 입력해줍니다.
어떤 가족을 부양하고 있는지에 대한 요건도 중위소득에 영향을 주니 성실히 답변해주세요!
직장에 다닌다면 근로소득을, 사업도 함께 하고 있다면 사업소득도 함께 적어주셔야 정확한 중위소득 계산이 됩니다.
소유하고 있는 재산 중 메뉴에 해당되는 부분이 있으면 모두 적어주어 중위소득을 측정하는데 정확도를 높혀봅니다.
의료급여 여부를 체크합니다.
의료급여는 기초생활수급자이거나 나이가 많은 노인일경우 나라에서 의료비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.
특별히 진료비를 저렴하게 받고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일반입니다.
체크 후 결과보기를 눌러줍니다.
결과보기
내가 기입한 내용들이 모두 정확하다면 중위소득 정확도가 높겠지만, 미처 몰랐던 사실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어느정도 가늠해보는 수치라고 생각하시고 중위소득 100% 안으로 얼마나 들어오는지 결과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.
이상으로 2024년 중위소득과 기준별 혜택, 그리고 중위소득 모의계산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.